한때 테슬라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꼽혔던 중국의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수년간의 폭발적인 성장과 전기차 시장의 선두 자리를 지켜온 BYD는 현재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시장인 중국 내에서 BYD는 정부의 가격 경쟁 개입과 날로 치열해지는 경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중국 당국은 이전에 판매를 촉진했던 업계의 공격적인 할인 전략을 제한했으며, 이로 인해 판매 성장세가 둔화되었습니다. 2025년 3분기, BYD는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전체 판매량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동시에 지리, 립모터, 샤오미와 같은 경쟁사들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며 BYD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재무를 압박하는 규제 강화
수요 부진 외에도 새로운 규제들이 회사의 재무 상태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중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공급업체에 60일 이내에 대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이는 평균 275일이 걸렸던 BYD에게 상당한 변화를 요구하는 규정입니다. 이로 인해 BYD는 유동성 관리에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만 합니다. 이미 지난 8월, BYD는 3년여 만에 처음으로 분기 순이익이 약 30% 감소했다고 발표하며 수익성에 경고등이 켜진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주식 시장에도 반영되어, 지난 5월 기록했던 최고가 대비 시가총액이 크게 하락했습니다.
워렌 버핏의 완전 매각과 투자 심리 위축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보유하고 있던 나머지 BYD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자들의 심리는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이 소식으로 인해 BYD 주가는 한때 급락했으나, 이후 소폭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으로 비교했을 때 BYD의 기업 가치는 여전히 견고한 편입니다. 주초 홍콩 증시에서 BYD 주식은 1.76% 하락한 106.30 홍콩 달러에 거래되었습니다. 하지만 연초 대비로는 약 19.6% 상승한 수치입니다. 금융정보업체 팁랭크스에 따르면, 9명의 애널리스트 중 7명이 ‘매수’ 의견을, 2명이 ‘보유’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이들의 평균 목표 주가는 203.93 홍콩 달러이며, 최고 목표 주가는 661.37 홍콩 달러에 달합니다.
남미 시장으로의 확장 전략
자국 시장에서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BYD는 해외 시장에서 성장의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최근 브라질 바이아주 카마사리에 중국 외 지역 최대 규모의 신규 메가 팩토리를 열었습니다.
이 공장은 초기 연간 15만 대 생산을 시작으로, 향후 최대 60만 대까지 생산 능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BYD는 남미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 전기차 선두주자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다지려 합니다. 브라질은 신재생 에너지 및 전기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 BYD에게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